오랫동안 윈도 10으로 업글해서 썼던 본인의 데스크탑PC가 자꾸, 블루스크린이 나오고 자동 에러 복구가 안되어서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SSD불량일까 싶어, chkdsk도 돌리고 이것저것 다해보았지만 아무짝에도 소용없었다.

 

본인의 PC는 요즘 흔한 UFEI방식의 부팅을 지원하지도 않고, USB부팅도 안된다. 오래된 DVD RW가 EIDE방식으로

물려있고 해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10 ISO파일을 구해와 DVD로 굽고 에러복구나 재설치를 해봐도 잘 안되었다.

 

 

다른 방식을 찾아서 DVD도 안되고 USB부팅도 안되었을때는 하드설치 밖에 더 있을까 고민하여 구글링을 한 결과

국내의 유명한 IT블러거이신 스누피박스 님의 제목그대로의 "윈도 10 하드디스크 설치하기" 를 참고해서(스누피님은

부팅매니저 cmd파일을 손수 만드신 듯 했다. ) 그대로 따라해봤는데,

 

여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이미 윈도 10 이하의 버전이 돌아가는 PC에서 하드디스크를 파티션하여, 하드파티션

디스크에 셋업 부팅매니저를 심는(?) 방식이라, 멀티 부팅 셋업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 지금 쓰고

있는 PC하드디스크에 재설치를 하려면, 하드디스크 자체에 설치부팅이 돌아가야 한다.  이런 방식은 안되어 있어서

 

다시 구글링을 한 결과, 외국사이트에서 이러저러한 내용이 나와있어서 그대로 따라했더니 설치가 잘되었다.

 

그래서 아래는 그 설치방식을 공유하고자 한다.  아래내용에 대해 혹시 일어날지 모르는 데이터 피해에 대해서는

절대 책임을 안지니, 본인 스스로 책임 결정하기 바란다

 

1. 윈도10설치디스크 ISO를 풀어서 설치파일을 통째로 설치하려는 하드디스크에 복사한다.

 

2. 설치하려는 하드디스크를 다른 PC에 붙여서, 다른 PC에서 관리자 명령창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한다

 

c:\ diskpart  [엔터]

[diskpart] list disk [엔터]  <== 윈도10을 설치하려는 디스크의 넘버(#)를 파악한다 0부터 시작

[diskpart] select disk [디스크넘버] [엔터] <== 디스크넘버가 0이라면 select disk 0

[diskpart] list partition  [엔터] <== 선택된 디스크의 파티션 넘버(#) 가 나열된다.

[diskpart] select partition [파티션넘버] [엔터] <== 부팅을 활성화할 넘버를 선택한다. select partition 0

[diskpart] active [엔터] <== 활성화시킨다

[diskpart] exit [엔터] <== 나가기

 

 

3. 부팅매니저를 탑재한다.

    설치 DVD롬에서 할 수도 있고,  설치ISO를 푼 파일에서 해도 된다.

 

x:\boot\bootsect.exe /nt60 E:   <== x드라이브는 설치DVD 디스크명이거나 설치파일 디스크명이고, E: 가 설치할 디스크명이다.

 

4. 설치할 하드디스크를 PC에 장착해서 부팅하면, 자동으로 윈도 10 설치모드가 진행된다

5. 정상 설치하면 됨..

 

 

 

 

+ Recent posts